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쇄계2015.02] Special Interview-이상묵 의원

_인터뷰_/Special Interview

by 월간인쇄계 2015. 4. 6. 15:14

본문



제8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에 이어 제9대 의원을 역임하고 현재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활발히 의정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이상묵 의원은 성신문화인쇄 전무이사로서 인쇄산업과도 깊은 연을 가지고 있다. 지역 주민과의 갈등, 실질적인 인쇄 지원 사업 부족 등 국내 인쇄 산업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상묵 의원은 “국내 인쇄 업체 중 45%가 서울에 위치할 정도로 인쇄 산업은 서울의 중요 산업이지만 안타깝게도 실질적인 현안 조사와 이에 맞는 구체적인 지원 정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면서 “정책을 수립하는 공무원들의 세심한 배려와 함께 인쇄 업계를 대표하는 오피니언 리더들로 구성된 인쇄 단체에서는 실제로 인쇄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앞으로의 인쇄산업 지원 정책 수립과 전개 방향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드러냈다.  



Q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활동과 함께 인쇄산업에 종사하고 계시는대, 현 국내 인쇄업에 대해 어떠한 의견을 가지고 계십니까.

A 인터뷰에 앞서 서울시와 성동구청 관계자들에게 어떠한 인쇄산업 지원 정책을 전개하고 있는지 문의했는데, 안타깝게도 실제로 인쇄업체를 운영하는 인쇄산업 종사자들을 위한 뚜렷한 지원 정책은 없었습니다. 다수의 인쇄사가 지원을 염두하고 살아남는 것보다 독자생존에 치중할 수 밖에 없다고 할 만큼 열악한 것이 현실입니다. 지금까지의 인쇄업계를 보면 실질적으로 인쇄 제조하는 업체들을 중심으로 산업이 움직여야 하는데 소위 나까마라고 불린 다수의 중간 업자와 기획사들이 시장 질서를 어지럽혔던 점이 큰 문제점이었습니다. 지금은 경제가 안 좋아지고 업체간 경쟁이 치열해 많이 구조조정이 이루어졌지만 개인적으로는 더욱 이루어져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현재 인쇄 업계의 구조조정은 틀림없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질적인 인쇄 제조 업체가 살아남아야 하는데 여러 과제가 있습니다. 먼저 산업 구조적으로 보면 비단 인쇄업계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분야도 마찬가지이듯 너무 많은 업체들이 경쟁을 하다 보니 단가가 하락하고 이윤이 적게 남아 경영이 어렵습니다. 또한 바닥까지 다수의 업체에 지원 정책이 체감되어야 하는데 제대로 현장의 목소리와 실정을 파악해 수립된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인쇄 업체의 약 45%가 서울에 밀집해 있습니다. 인쇄는 우리나라의 산업 구조 상 큰 역할을 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 분야이고 서울시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이지만 서울시나 자치구에서는 중장기적인 세심한 지원 정책이 없는 것이죠.

때문에 전체적인 흐름을 봤을 때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일부 지원 정책이 제대로 된 정책인가 하는 부분에서는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서울시에서는 정책을 수립할 때 다양한 인쇄 현장의 의견을 듣기 보다는 협회 등 일부의 의견만을 듣고, 기존에 해 오던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실질적으로 인쇄 현장에서 체감하기 어려운 정책이 진행되는 것이 아쉬운 부분이죠.   

 


Q 의원님께서 생각하시는 인쇄산업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사업 모델은 무엇입니까.

A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직접적인 재정 지원도 물론 중요하지만 행정적 지원도 함께 조화시켜 튼실한 구조적인 여건을 조성해 나가는 것이 인쇄업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쇄 단가라든지 공장 등록 절차 투명성 등 인쇄업계 스스로 자정하고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말이죠. 이러한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인쇄 제조를 하는 분들이 우선이 되야 하고 기존에 하던 지원만 계속해서 관습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재정적,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죠. 한 예로 인쇄업계의 중요한 테마는 인쇄문화산업의 일환으로 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합니다. 우리의 활자문화는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국내 인쇄업의 중요한 메카인 서울의 위치성을 분명하게 해주고 이를 문화와 연관시켜 중요한 명분을 갖추어 장기적으로 계획을 가지고 가야한다고 생각하는데, 아직은 그 틀이 잡혀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즉 전체적인 틀에서 세심한 배려가 부족한 것이죠. 공무원들도 단순히 사업 예산 집행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염두하고 이를 서울시의 기본적인 정책 방향과 매치시켜 구체적인 지원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공무원에게는 세심한 배려가 중요하고 인쇄 관련 협회 등 오피니언 리더 들은 더욱 구체적인 국내 인쇄 산업 현장의 목소리와 의견을 전달해야 하는 것이죠. 지자체와 인쇄 단체에서의 더욱 세심한 노력은 실질적인 인쇄산업 지원 수립과 그 혜택이 인쇄산업 전반에 있어 영향을 끼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Q 국내 인쇄산업에 있어 서울이 중요한 위치임을 강조하셨는데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A 현재 일자리 창출은 중앙정부를 비롯해 서울시, 자치구의 중요한 화두인대 일자리가 대기업에서 창출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중소기업들이 활발히 일자리 창출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밝혔듯 국내 인쇄업체의 대다수가 서울에 위치해있고 서울시의 인쇄업 종사자를 보면 그 수는 약 29,000명으로 3만명에 달합니다. 때문에 인쇄업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지원 정책이 중요합니다. 흔히 인쇄산업이 하향 산업으로 치부되지만 현재도 인쇄산업은 여전히 살아움직이고 있는 중요 산업입니다. 중소기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인쇄산업에서도 서울시나 자치구에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해 원활한 사업 전개를 이룬다면 일자리 창출에서도 그 역할을 다해나갈 수 있는 중요 산업인 것입니다.

또한 성동구, 중구 등 지역 인쇄 하는 사람들의 연결책을 만들어 교류 기회를 만들고 공동구매 등 활로를 개척하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같은 연결책과의 활발한 대화를 통해 막연하게 소상공인 입장에서 그들 중 하나로 인쇄 산업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자치구 차원에서 기계 대여 저리 지원 등 더욱 구체성을 가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위원장님의 지역구인 성동구에서 현재 인쇄출판사 실태조사를 통한 업계 현안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 1980년대 중반부터 충무로에 밀집해 있던 인쇄업체 중 규모가 있는 인쇄업체들을 중심으로 성수동 이전이 많이 이루어졌습니다. 규모가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땅값이 저렴하고 넓은 사업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성수동으로 움직인 것이죠. 그렇게 30년이 지났음에도 자치구인 성동구에서는 인쇄 업체 현황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물론 인쇄를 비롯해 자동차 서비스, 수제화 등 다양한 산업체가 성수동에 위치해 인쇄산업에만 초점을 맞추기는 힘들었겠지만, 충무로 다음으로 성수동이 국내 인쇄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것이죠. 이전부터 아무래도 성수동이 공장지대이다 보니 노동 운동을 하시는 분들을 중심으로 노동자 보호 차원에서 교육을 진행하는 등의 일부 지원은 있었지만 전체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방향이 설정되지 않아 실질적인 지원책이 없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일부 지원 사업은 중소상공인 지원의 일환으로 융자를 저렴하게 준다든지의 간접적인 지원이 있었을 뿐 인쇄를 위한 정책 등 직접적인 지원은 아니었습니다. 때문에 현재 성동구에서는 이에 대한 인쇄출판사 실태조사를 통해 교육과 컨설팅, 판로개척, 홍보 등 각종 지원사업을 전개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Q 서울에서도 전통적으로 인쇄업체가 집중해있던 충무로와 필동 지역이 주민 반발, 땅값 상승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사안과 관련해 어떠한 의견을 가지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A 인쇄산업은 도시형 산업으로 도심지와 밀접해 있어야 비용 절감, 빠른 배송 등 사업적으로 가산 요소가 생기기 때문에 이전부터 도심지에 많이 위치해 있었습니다. 때문에 땅값이 상승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만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 생겼을때는 지역단위 연합체를 형성해 주체를 명확히 한 후 적극적으로 이를 해소시키고 화합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필동을 예로 들면 필동 지역 인쇄 연합체를 형성해 주민 대표와 지자체들과 대표성을 가지고 대화를 진행하고 이를 반영해 주차 문제, 단합 행사, 지역 기부 등을 통해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행위 주체간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죠.

취재_글_이혜정 기자 / 사진_김원경 기자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