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인쇄계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월간인쇄계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571) N
    • _월간인쇄계_ (204)
      • _월별 목차보기_ (78)
      • _YouTube 채널_ (74)
      • _인쇄계그램_ (48)
    • _Idealliance Southeast Asia.. (31)
    • _NEWS_ (3993) N
      • 따끈따끈 늬우스 (50)
      • 종합 (755)
      • PrePress (607)
      • Press (525)
      • DigitalPress (1395) N
      • PostPress (215)
      • Paper (328)
      • 재료 (111)
    • _인쇄기술정보_ (226)
      • 테크니컬리포트 (18)
      • 트랜드리포트 (4)
      • 베르디그리스리포트 (35)
      • 세계의 인쇄표준 (3)
      • 특집 - Special Report (39)
      • 국제인쇄기술컨퍼런스-IGATec (3)
      • 기술기고 (106)
    • _인터뷰_ (230)
      • CEO Interview (36)
      • Special Interview (74)
      • Global Interview (29)
      • Fonts & People (39)
    • _인쇄업계관련_ (704) N
      • 행사 (170) N
      • 인쇄단체 및 학회 (199) N
      • 세미나&컨퍼런스 (160)
      • 시상식, 참관기 (14)
      • 기자간담회 (109)
      • PR (41)
    • _국내전시 리포트_ (167)
      • K-PRINT (124)
      • 기타 국내 전시회 (38)
    • _해외인쇄전시 리포트_ (221)
      • CHINAPRINT-PRINTCHINA (26)
      • DRUPA (108)
      • IGAS (27)
      • 기타 해외 전시회 (57)
    • _기업탐방_ (523)
      • 비즈니스포커스 (207)
      • 오픈하우스 (107)
      • 글로벌탐방 (42)
      • 국내 장비 도입 사례 (98)
      • 해외 장비 도입 사례 (62)
    • _장비 및 제품소개_ (260) N
    • _스크린인쇄_ (4)
    • _컬럼_ (7)

검색 레이어

월간인쇄계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인쇄계2025.03] 2024년 폰트 분야 이슈와 2025년 한국폰트협회 계획

디지털 미디어의 활성화와 더불어 기업들과 지자체들이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정체성 확립을 위해 자체 폰트를 제작하는 경우가 늘면서 현재 국내 시장에는 2만 여종이 넘는 다양한 종류의 폰트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또한, iF DESIGN AWARD와 같은 글로벌 디자인 관련 어워드에서 연이어 수상 소식이 전해질 정도로 국내 폰트 제작 능력은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사용처가 다양해지면서 국내 폰트 시장도 성장하고 있지만, 사용하는 입장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 가운데 하나가 라이센스를 정확하게 확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쇄와 웹사이트, 영상, 상품 패키지, e-book 제작에 필요한 임베딩, BI/CI까지 사용처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는 라이센스를 확인하고 구매, 사용해야 하며 무료 폰트라고 하..

_인터뷰_/Fonts & People 2025. 6. 12. 09:00

[인쇄계2025.02] 균형과 원칙을 지키는 파격

태시스템과 대표님에 대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저는 연세대학교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하고, 한국IBM에서 엔지니어 생활을 하다가 미국 뉴욕시립대학원에서 컴퓨터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미국 전자출판 관련 기업에서 처음으로 맡았던 업무가 뉴욕 세계일보 전산조판시스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작업이었습니다. 당시 미국 기업에서 글꼴 디자인을 하고 있었던 김태수 디자이너를 만나서 본인이 디자인한 폰트의 엔지니어링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게 되었고, 두 사람 이름에 같이 들어있는 글자를 따서 ‘태시스템’으로 사명을 정하고 함께 일을 시작했습니다. 뉴욕에서 거주하면서 폰트를 디자인하는 김태수 디자이너 외에 디자인을 맡아 줄 사람이 필요했고, 최정호 선생님께 원도 도안을 배우고 당시 수동식 제판 분야에서는 충무로에서 가..

_인터뷰_/Fonts & People 2025. 4. 16. 09:00

[인쇄계2025.01] ㈜붉다, 자필폰트를 활용한 다양한 시장을 만들어 갈 것

먼저 회사에 대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2003년 설립한 ‘붉다’는 장미의 시인이라고 불린 릴케의 시에서 따온 이름으로, 일반 대중들이 폰트를 잘 사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설립 초기에 주요 아이템이 멀티미디어와 자필폰트였기 때문에 ‘문자네트워크’라는 의미로 여러 사람들의 자필폰트를 모아서 한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를 ‘문자동맹’이라는 브랜드에 담았습니다. 설립 초기에는 일반 대중들의 폰트 구매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2003년 즈음부터 싸이월드에서 도토리로 음악과 폰트를 구매하는게 젊은 세대들에게 유행처럼 번지면서 그래픽 디자이너나 기업이 아닌 일반 개인들이 자기 표현을 위해서 폰트를 구매하기 시작했고, 저희..

_인터뷰_/Fonts & People 2025. 4. 15. 09:00

[인쇄계2024.12] 국내에 처음으로 매킨토시 기반 전자출판시스템이 도입된 과정

나의 아버지께서는 강원도에서 군대의 군목으로 계시다가 6·25전쟁이 끝난 뒤 양구에서 목회와 함께 고아원을 시작하셨다. 그렇게 양구가 나의 고향이 되었다. 뒤에 이야기하겠지만, 윤디자인의 창업주인 윤영기 대표가 양구 비봉국민학교 동창이다. 내가 반장, 그 친구가 미술부장이었다. 당시 양구는 춘천까지 버스로 40분 거리에 있었는데, 소양강 댐 공사가 시작되자 양구와 춘천 사이에 있던 내평 마을이 수몰되면서 춘천까지 3시간이나 걸리는 오지가 되었다. 그러자 아버지는 댐건설 반대 운동을 하셨는데, 정부와 다른 개인의 목소리를 낸다는 건 상상하기 어렵던 엄혹한 박정희 대통령 시절이라, 자연히 중앙정보부로부터 어려움을 겪으셨던 아버지는 이민을 결심하셨다. 그렇게 1974년 미국 뉴욕으로 이민을 가게 되었다. 외국..

_인터뷰_/Fonts & People 2025. 2. 7. 09:00

[인쇄계2024.11] ‘다인의글씨’가 만들어가는 유니크한 폰트 트렌드 - 다인의글씨 최다인 대표

먼저 본인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저는 ‘다인의글씨’라는 이름으로 신나게 폰트를 만들고 있는 폰트 디자이너 최다인입니다. ‘다인의글씨’는 누군가와 함께 작품을 만들고 있다는 마음으로, 감정과 마음을 오롯이 전달 해 줄 수 있는 폰트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폰트 브랜드입니다.저는 넓은 의미에서 무엇인가를 창작하여 타인에게 새로운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사람을 모두 아티스트라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저 스스로 즐거워서 만든 폰트가 다른 아티스트들과 만나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이 너무 신기하고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제작한 의도로 사용하시는 분들을 보면 딱 맞아 떨어진 것에서 오는 통쾌함이, 제가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방향으로 사용된 모습을 보면 의외성에서 오는 희열을 느끼게 되는데, 이런..

_인터뷰_/Fonts & People 2025. 1. 13. 09:00

[인쇄계2024.10] 국내 최초로 아웃라인 폰트를 개발한 휴먼폰트가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부활합니다 - 국내 폰트 시장의 시작과 성장을 이끌었던 벤처 0세대 경영인 휴먼폰트스튜디오 이종만 대표

㈜휴먼컴퓨터는 다른 폰트 기업들과 달리 ‘IT 기술 기반 벤처 기업’이라는 수식어가 함께 검색됩니다. ㈜휴먼컴퓨터는 1989년 삼보컴퓨터와 일본 엡손의 공동 투자를 통해 설립되었습니다. 저는 삼보컴퓨터 기획실에서 레이저프린트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었고, 카이스트 석, 박사분들과 함께 소프트웨어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의기투합해서 휴먼컴퓨터 창립 멤버로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설립 초기에는 마케팅 실장으로 당시 큰 화제를 모았던 ‘문방사우’라는 윈도우용 DTP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출시했는데, 인쇄업계에서 필요로 했던 CMYK 출력 기능을 넣지 못했기 때문에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습니다. 국내 최초의 아웃라인 한글 폰트 기술을 개발해서 아래한글 초기버전에 탑재하기도 했던 휴먼컴퓨터는 폰트 제작 ..

_인터뷰_/Fonts & People 2024. 12. 23. 09:00

[인쇄계2024.09] 부여 브랜드 서체,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와 K-DESIGN AWARD 파이널리스트 진출

(재)부여군 지역공동체활성화재단이 개발한 부여 브랜드 서체(이하 부여 서체)가 일본 굿디자인 어워드(GOOD DESIGN AWARD 2024)와 K-DESIGN AWARD 2024 파이널리스트에 진출했다.   부여 서체는 (재)부여군 지역공동체활성화재단이 지난 2021년 10월 부여의 정체성을 가진 상품성 있는 서체를 만들기 위해 기획을 시작, 기획과 분석, 시안, 개발, 검수 및 프로그래밍까지 15개월 여에 걸쳐 완성한 것으로, 혁명과 미래를 이야기한 신동엽 시인의 글씨를 발전시켜 시인의 정신을 이어갈 수 있는 신동엽 손글씨 서체와 부여의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담아 오늘날 부여의 골목 어디서나 만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어진 정림사지 서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각 지자체 별로 지역 특산품이나..

_인터뷰_/Fonts & People 2024. 12. 20. 09:00

[인쇄계2024.09] 옥외 광고&화환 리본용 폰트를 비롯, 400여 종 이상의 다양한 폰트를 제작해 온 폰트 전문기업, 초롱테크㈜

어떤 계기로 폰트 분야와 연을 맺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원래 저의 주 업무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입니다.  1984년 대우전자중앙연구소에 입사하고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던 중에 PC에 탑재할 DTP 워드프로세서 개발 지시를 받았습니다. 당시 국내에는 워드프로세서가 없었는데, 워드프로세서에 폰트가 들어가야 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폰트와 처음 연을 맺게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비트맵 폰트 1, 2벌을 조합해서 폰트를 제작했기 때문에 모양이 좋지 않았는데, 자체적으로 이를 수정하기도 했습니다.대우전자중앙연구소 입사 후 2년차에 워드프로세스 개발 업무를 7개월만에 마무리 한 뒤에, 여러 곳의 스카우트 제의를 받게 되었고, 전자출판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를 거쳐 인쇄사들이 사용하는 DTP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_인터뷰_/Fonts & People 2024. 12. 18. 09:00

[인쇄계2024.09] 바야흐로 ‘나눔명조’ 시대가 되었습니다 : 공공 누리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폰트 소개

2023년 교육부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초·중·고교 대상으로 폰트 저작권 침해 분쟁이 벌어진 사례는 714건에 달하고, 2022년 1월 교육기관 저작권 분쟁 및 저작물이용 실태조사 결과 저작권 분쟁을 겪은 학교의 86.3%는 폰트 문제이었던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습니다. 무료 폰트들에 대한 소개와 설명을 드리는 이번 칼럼 기고 요청 공문의 적정 분량 설명에서 ‘워드프로세서 2p 정도 분량, 나눔명조 11p 기준’이라는 내용을 보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 2000년대 다양한 굵기로 구현 가능한 윤고딕, 윤명조 시대가 가고, 바야흐로 나눔고딕 나눔명조 시대가 되었습니다. 나눔명조는 지난 2008년, 누구나 폰트 저작권 문제없이 사용가능한 ‘무료 폰트’의 시작점이 된 폰트입니다. 나눔 명조, ..

_인터뷰_/Fonts & People 2024. 12. 18. 09:00

[인쇄계2024.08] 폰트 제작 과정을 단축해 보다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지원 도구 만들 것

소프트웨어 연구 개발자이나 서체 디자이너라는 직함이 독특합니다. 간단한 개인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저는 대학에서 시스템소프트웨어를 전공하고, 1997년부터 한글/한자 윤곽선폰트 압축기술 및 글립편집기 개발(산업자원부, 2000~2001)과 트루타입 내장 비트맵 폰트 압축(중소기업청, 2003~2003), TV출력용 폰트 래스터라이저 및 폰트경량화(ETRI, 2004~2004), 선거정보 모바일 웹서비스 구축(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1),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저작권보호기술 연동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문화체육관광부 2015~2017), 문서처리 시스템 구축 자동화 플랫폼 개발(중소벤처기업부 2018~2020) 등 다수의 전자문서와 디지털 폰트 관련 SW개발과 연구 사업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_인터뷰_/Fonts & People 2024. 10. 10. 09:00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월간인쇄계 © 1969-2025 Graphics World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